콘텐츠기획자의 IT입문서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를 알아보자! 본문

PM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를 알아보자!

lazy_cat 2022. 1. 10. 21:41

서비스 기획

사용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1)발굴하고 2)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과정을 설계하는 것.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서비스 기획자는 위 프로세스의 전반적인 부분에 모두 관여한다.

  • 전략 :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컨셉 도출 (리서치, 벤치마킹 등 방법론을 사용)
  • 사업 : 사업성/수익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설계 (B2C 서비스처럼 무료 서비스 배포시에는 제외)
  • 기획 : 제품화 모든 과정을 설계 (서비스 기획자가 가장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부분)

프로젝트 진행 프로세스
1. Pre-Production

  • 제품 및 서비스를 설계하는 단계로 기획팀 중심으로 진행.
  • 어떤 스펙, 어떤 방식으로 제품에 녹여낼 것인가?
    설계하기 위해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그것들은 어떻게 왜 필요한가? 등에 대한 자료를 만든다.
  • Pre-Production 프로세스  
    1. 리서치
    • 문제해결을 위한 원인 분석 및 해결방안 검토를 위한 자료조사 단계.
    • 1) 내부 리서치 : 로그 데이터, A/B 테스트, VOC, 사용성 테스트, 사용성 벤치마킹, 데이터 마이닝 등
      2) 외부 리서치 : 사용자 서베이, FGI, 벤치마킹, 온라인 자료조사, 리서치 업체, 데이터 마이닝 등
    2. 타당성 검토
    • 조사된 자료를 기반으로 해결방안 설계 하고 상위 기획서를 작성하는 단계.
    • 의사결정권자와의 검토 단계를 위해 필요함.
    • 이 사업을 왜 해야하나? 왜 필요한가? 왜 우리가 이 시장에서 이길수있나? 사용자에게는 어떤 베네핏을 제공할 수 있는가?
      어떤 방향성/형태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선보일 수 있는가?에 대한 내용을 담는다.
      * 기획자가 기획서를 작성할  다양한 "왜?"를 끊임없이 던져야 한다.
    • 중점적으로 논의되는 내용
      1) 실현가능성 : 개발단계에서 실현 가능한지 파악 필요.
      2) 타당성 : 납득이 되는 해결방안인지.
    3. 필요 스펙 정리
    • 해결방안에 대한 구현방식 및 목표를 설정하고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스펙 정리 단계.
    4. 사업성 검토
    • 사업관련 부서와의 사업성 검토 및 스펙 초안 확정 단계. (검토하며 스펙 재정의)
    • 사용자 VOC 분석
    • 클라이언트 요구사항 검토 (사업팀과 함께 논의)
    • 사내 타 서비스와의 카니발리제이션 여부 검토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서비스 되어야 한다면 손해 범위 파악 필요)
    • 내부자산 활용 방안 검토
    • 서비스 패키징 가능여부 검토 (대체적으로 B2B에 해당)
    5. IA 설계 (Information Archtecturing / 조직도)
    • 제품  전체가  그림을 확인할  있는 용도로 협의된 스펙을 바탕으로 메뉴를 분류하여 Depth 구조로 설계.
    •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
      1) 서비스 플로우
      - 어떤 사용자를 대상으로 어떤 컨텐츠를 전달할 것인가?
      - 기존 사용자의 사용패턴은 어떤가?
      - 각 섹션별 방문 목적은 무엇인가? (어느 depth에 위치해야하는지 판단하기에 용이)
      2) 컨텐츠
      - 각 섹션에서는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
      - 컨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는 누구인가?
      - (회사)파트너향인가 (일반)사용자향인가?
      3) 커뮤니케이션
      - 누구에게 전달될 자료인가?
      - 어떤 용어로 통일하여 제공되어야 하는가?
      - 해당 자료의 의도는 무엇인가?
    6. 개발이슈 검토
    • 논의된 스펙에 대한 서비스 구현 가능성 및 적합성 검토 및 브리핑하는 단계.
      - 스펙초안 리뷰 (스펙이 변경/추가/삭제 될 수 있음)
      - 기능 구현 가능여부 확인
      - 어떤식으로 어떤 플랫폼에서 어떤 언어로 구현할 것인지 구현방향에 대한 논의
      - 추가 검토 필요사항 전달
      - 개발의 범주 파악하여 리소스 할당 (개발 일정, 인원, 리소스 선정하여 담당자 배정)
    7. 화면 설계
    • 구체적인 서비스의 동작 및 정책 등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상세 기획서 작성 단계.
    • 상세 기획서 구성요소 (프로덕션 팀과 공유가 목적)1) 표지 및 목차 : 프로젝트 관련 기본 내용 (페이지네이션을 해두지 않으면 추후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움)2) 히스토리 : 기획서 버전 관리
      3) 사이트맵 : 서비스 전체구조 시각화 (IA와 동일)
      4) 화면목록 : 기획서 내 페이지별 컨텐츠 정리
      5) 상세 설계 : 플로우차트, 정책정의서, UI/UX 설계 (상세하게 설계하는 것이 중요함)

2. Production

  •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단계로 프로덕션 팀 중심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 프로덕션 팀과 협업하여 제품 개발 및 산출물의 퀄리티 검토해야 한다.
  • 서비스 기획자가 설계한 설계서에 대한 의문과 질문들이 들어오는 단계로
    Pre-Production 단계에서 설계서를 잘 설계 했다면 진행과정이 수월 할 것. (Pre-Production 단계의 중요성!!)
  •  Production 프로세스 
    1. 기획서 리뷰
    • 상세 기획서 작성 완료 후 관련 부서 전체에 공유하는 단계. (리뷰를 하며 다양한 의견을 받는 브리핑 단계)
    • 수행해야 할 내용
      1) 스펙 상세 리뷰
      2) 기능 구현 가능여부 검토요청
      3) 담당자 지정 요청
    2. 리소스 할당
    • 서비스 개발을 위해 각 부서 담당자 배치를 할당 받는 단계.
    • 수행해야 할 내용
      1) 담당자 지정
      2) 담당자들에게 기능 구현에 대한 의견 청취
      3) 담당자들과 논의하에 일정 산정
    3. 디자인 요청
    • 상세 기획서 내용을 기반으로 서비스 디자인을 제공받으며 시안을 기준으로 수정사항 확인 및 반영하는 단계.
    • 수행해야 할 내용
      1) 디자인 컴포넌트 확정
      2) 디자인 시안 검토 (모든 프로덕션 팀이 모여서 리뷰)
      3) 디자인 가이드라인 공유 (폰트, 간격, 색상 등 수치화된 가이드라인)
      4) 인터랙션 재검토
    4. 퍼블리싱 요청
    • 디자인 시안을 바탕으로 마크업 작업을 요청하는 단계.
    • 수행해야 할 내용
      1) UI/UX 요소 구현
      2) 테스트 페이지 요청
      3) 디자인 반영내역 검토
      4) 반응 웹 반영 검토
    5. 개발 요청
    • 기획서 스펙사항을 서비스에 반영하는 단계.
    • 수행해야 할 내용
      1) FE-BE 간 커뮤니케이션의 다리 역할
      2) 테스트 단계 (TC) 수립
      3) 개발 일정 조율
      4) 변경내역 검토 및 조율 (구현단계에서 스펙이 변경될 경우가 있을 수 있음)
    *3~5 :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 요청의 순서가 바뀌거나 디자인, 퍼블리싱 단계가 축소   있다.

    6. QA (Quality Assurance)
    • 개발이 완료된 내용에 대해 품질 검증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좋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필요한 중요한 단계.
    • 수행해야 할 내용
      1) TC(Test Case) 제작
      2) QA 결과에서 잔존결함 발견 시 수정요청
      3) 릴리즈 일정 조율
    7. 릴리즈
    •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오픈하는 단계.
    • 릴리즈 단계가 프로젝트의 마무리는 아니다.  이후에도 업무는 계속된다.
    • 수행해야 할 내용1) 기존 운영되는 서비스의 경우 업데이트에 대한 내요 사전 공지2) 이용약관 검토
      3)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앱 심사 요청 (앱 심사가 반려될 수도 있으므로 충분한 시간을 갖추고 릴리즈 해야함)
      4) 릴리즈 대기
      5) 프로젝트 참여자들과 회고

3. Released

  • 제품을 출시하는 단계.
  • 제품이 출시 된 이후의 단계로 마케팅, 운영, 사업팀 중심으로 진행됨.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