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드스테이츠
- 코딩
- db
- CSS
- 회고록
- 서비스분석
- 쇼핑몰
- 스프링부트
- kpt회고
- 자바스크립트
- 서비스 기획
- PM
- 프로덕트 매니저
- jquery
- PM부트캠프
- UI
- javascript
- tag
- SpringBoot
- 프로젝트 매니저
- 생활코딩
- 데이터분석
- 스프링
- html
- 서비스기획
- 서비스 기획자
- 회고
- UX
- 데이터
- PO
- Today
- Total
목록PM/Weekly Task (4)
콘텐츠기획자의 IT입문서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나는 해지했던 넷플릭스를 다시 구독했고, '환승 연애'와 '술꾼 도시 여자들'을 보기 위해 티빙까지 구독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적으로 나타났는데, 코로나19 확산 이후 OTT 서비스 유료 이용률은 눈에 띄게 증가했다. 한 가지 안타가운 사실은 해외 OTT 서비스의 이용률이 대폭 상승하는 동안 국내 OTT 서비스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는 점이다. 열심히 성장 중인 국내 OTT 서비스들 2022년 기준 국내 1위 OTT 서비스였던 웨이브를 제치고 티빙이 1위, 그 뒤로 쿠팡이 2위를 선점했다. 티빙은 어떻게 웨이브를 제치고 국내 OTT 1위로 급부상 할 수 있었을까? 티빙과 쿠팡 플레이는 넷플릭스와 동일하게 독점 콘텐츠 및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집중하는 전략을 펼쳤다..
지난 번 글에 이어 펫프렌즈 분석을 통해 도출해낸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게 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신규 기능을 개발하기 앞서 무엇을 추가하고, 무엇이 수정되어야 하는지 PM은 디자이너와 개발자에게 알려줘야 한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기획자/PM/PO는 문서를 작성하게 되는데, 이 문서라는 것은 마치 신규 기능 위키 백과사전과 같은 기능을 한다. 👇👇 지난 번 분석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 펫프렌즈의 상품 큐레이션 기능 강화하기! (feat. MVP, 와이어프레) |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지난 글에서 UX 리서치를 통해 도출해낸 펫프렌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번 글에서는 MVP를 기획해보고자 한다! [문제점] 처음 펫프렌즈가 유명해지기 시작한 것은 AI 기반 상품 추천 기능 gaea.tistor..
지난 글에서 UX 리서치를 통해 도출해낸 펫프렌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번 글에서는 MVP를 기획해보고자 한다! [문제점] 처음 펫프렌즈가 유명해지기 시작한 것은 AI 기반 상품 추천 기능 및 쿠폰 혜택 덕분이었다. 최근 쿠폰 혜택이 많이 사라지고, 쿠폰 사용 기간도 짧아지면서 사용자들은 혜택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다. 새벽배송 및 우수한 CS 대응에 대해선 긍정적이었으나 제품의 핵심 기능인 추천 기능에 대해서도 만족감이 크지 않다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판단했다. 펫프렌즈의 본질인 AI 기능을 고도화하지 않는다면 사용자들은 점점 더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해결방안] 핵심기능에서 크게 만족하고 있지 않는 현재 상황에 따라 '세밀한 추천 기능'을 최상위 우선순위로 배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우리는 현재 반려동물 양육 인구 수 1500만 명 시대에 살고 있다. 1인 가구와 딩크족이 들어나는 사회현상에 따라 반려동물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는 많이 달라졌다. 과거 집을 지키는 동물, 쥐를 잡아주는 동물로 여겨지던 동물이 지금은 마음으로 낳은 자식처럼 여겨지고 있다. 최근 애완동물이 아닌 반려동물이라 명명하는 것만 봐도 세상이 많이 바뀌었다는 것을 느낀다. 나 역시 고양이 집사라 월급을 받으면 가장 먼저 고양이 용품부터 구매한다. 다양한 반려동물 커머스 플랫폼이 있는 데 그 중 유일하게 펫프렌즈를 이용하고 있다. 왜일까? 분석을 통해 왜 많은 반려인들이 펫프렌즈를 많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지 알아보려 한다! 반려동물 커머스 시장의 성장세 반려동물 양육 가구수로 봤을 때 2020년 기준 638만 가구가..